詩
고려 정몽주의 시
아리랑.
2013. 5. 26. 19:12
기회욕절화지후(機回欲折花枝嗅)
심공화상부정수(心恐花傷復停手)춘풍가작고목화(春風可作枯木花)
추풍부작청춘화(秋風不作靑春花)
몇 번인가 꽃을 꺾어 그 향기를 맡고 싶었으나
꽃이 상할까 두려워 가던 손길을 멈추노라.
봄바람은 마른 가지에 꽃을 피울 수 있으나
가을바람은 청춘의 화려함을 주지 못한다.